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수두의 전파와 문화의 발달

by $램프 2024. 1. 16.

 

'단군고기'에 따르면 단군왕검은 아들 부루를 보내 하나라 우임금과 도산에서 만나도록 했다. '오월춘추'에도 비슷한 기록이 있다. 요임금 때에 9년 동안 홍수가 일어나니 순임금이 우에게 그것을 처리하라고 명령했다. 우는 8년간이나 성과를 내지 못하고 걱정하다가 남악인 형산에서 맥바를 제물로 하늘에 제사하고 성공을 기원했다. 꿈에 한 남자가 나타나 자신을 현이의 창수사자라고 소개한 뒤 우에게 구산 동남쪽의 도산에 신서가 있으니 3개월간 몸을 정결히 한 다음 일어보라고 말했다. 우는 이 말에 따라 귀중한 신서를 얻고 물을 다스리는 이치를 깨달아 홍수를 막았다. 이에 그는 주신의 은덕을 잊지 못해 정전제를 실시하고 법률과 도량형을 제정했다.

 

단군조선 때는 동, 남, 서, 북, 중, 오부를 남, 적, 백, 현, 황으로도 불렀다. 북부는 현부에 해당했다. 중국인들은 현부를 '현이'라고 불렀다. 창수는 창수를 뜻한다. 중국 춘추시대의 기록에 조선이 주신, 숙신, 직신, 식신으로 표기됐으니 주신은 조선을 가리킨다. '단군고기'에 나오는 부루는 '오월춘추'의 창수사자다. 이때 중국에서 대홍수의 재앙이 있었다는 것은 각종 고대사 서적들이 똑같이 증명하고 있다. 단군왕검이 중국의 수재를 구제하고자 아들 부루를 창해사자로 임명하니 부루가 도산에 가서 우에게 삼신오제교의 오행설을 전파하고 치수의 방법을 가르친 것이다. 그래서 우는 왕이 된 뒤 부루의 은덕을 생각하며 삼신오제의 교를 신봉하고 이것을 중국 각지에 전파했다. 전정제와 법류, 도량형도 중국이 창작한 게 아니라 조선의 제도를 모방한 것이다. 이런 이유 때문에 꿈에서 창수사자를 만났다고 이야기한 것이다. 신성한 장치를 통해 사실을 신화로  만드는 것은 상고시대에 흔한 일이었다.

 

우임금은 홍수를 다르신 공로로 왕이 되어 국호를 하나라로 정했다. 그는 수두의 신앙을 믿고 도산의 신서를 홍범구주라 부르며 추앙했다. 수백 년 만에 하나라가 망하고 상나라가 뒤를 이었고 상나라 역시 수백 년 만에 망했다. 주나라가 흥한 뒤에 무왕은 홍범구주를 배척했다. 그러나 은나라 왕족인 기자는 홍범구주를 새로 짓고 무왕과 논쟁한 뒤 조선으로 도망했다. '서경'의 홍범주구가 바로 그것이다 '서경'에서는 이렇게 말한다.

 

"첫 번째는 오행이고 두번째는 오사로써 공경하는 것이고 세 번째는 팔정으로 농사를 하는 것이고, 네 번째는 오기로 협력하는 것이고, 다섯 번째는 황극을 세우는 것이고, 여섯 번째는 삼덕으로 다스리는 것이고 일곱 번째는 계의로 밝히는 것이고 여덟 번째는 서징으로 상고하는 것이고, 아홉 번째는 오북으로써 향하고 육극으로 위엄을 보이는 것이다. 첫 번째로 오행이란 것은 첫째는 수이고 둘째는 화이고 셋째는 목이고 넷째는 금이고 다섯째는 토를 말한다. 두 번째로 오사란 것은 첫째는 형상이고 둘째는 언어이고 셋째는 보는 것이고 넷째는 듣는 것이고 다섯째는 생각하는 것을 말한다. 세번째로 팔정이란 첫째는 먹는 것이고 둘째는 재물이고 셋째는 제사이고 넷째는 사공이고 다섯째는 사도이고 여섯째는 사구이고 일곰째는 외교관이고 여덟째는 군사를 말한다. 네 번째로 오기란 것은 첫째는 세이고 둘째는 달이고 셋째는 해이고 넷째는 별이고 여섯째는 역법을 말한다. 다섯 번째로 황극이란 것은 임금이 표준을 세우는 것을 말한다. 여섯 번째로 삼덕이란 것은 첫째는 정직이고 둘째는 굳셈으로 이기는 것이고 셋째는 부드러움으로 이기는 것을 말한다. 일곱 번째로 계의란 것은 점칠 사람을 가려서 세우는 것을 말한다. 여덟 번째로 서징이란 것은 비 내리는 것과 볕이 빛나는 것가 더운 것과 추운 것과 바람이 부는 것과 시간에 맞추는 것을 말한다. 아홉 번째로 오복이란 것은 첫째로 장수이고 둘째는 부유함이고 셋째는 강녕함이고 넷째는 덕을 좋아하는 것이고 다섯째는 제 명을 다하고 죽는 것을 말하며 육극이란 것은 첫째는 흉한 것과 요정하는 것이고 둘째는 질병이고 셋째는 근심하는 것이고 넷째는 가난이고 다섯째는 너무 굳센 것이고 여섯째는 약함이다."

 

이 부분은 도산에서 전한 시선의 본문이며 나머지 부분은 기자가 덧붙인 것이다. 기자는 "하늘이 우임금에게 홍범구주를 하사했다."고 했다 기자는 '단군'을 '하늘'로 부르고 '단군이 하사했다.'를 '하늘이 하사했다.'고 표현한 것이다. 수두 교리에서는 단군이 하늘의 대표자였기에 이렇게 한 것이다. 기자가 조선으로 도망한 것은 상나라가 주나라에 의해 망했기 때문이다. 상나라가 망하면서 상나라의 국교인 수두교가 압박을 받았기 때문에 고국을 버리고 수두교의 조국으로 가고자 했던 것이다. 

 

'한서'에서는 거북이가 문자를 지고 낙수에 나온 덕분에 우임금이 홍범구주를 전파할 수 있었다고 하지만 '주역'에서는 "하에서 도가 나오고 낙수에서 서가 나오자 성인께서 이것을 본뜨셨다"고 했다. 이는 하도낙서에 기초하여 '주역'의 괘를 지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하도낙서에 기초하여 홈범구주를 지었다는 것은 허황된 주장이다. 이것은 청나라 학자인 모기령의 학설을 따른 것이다. '오월춘추'에 따르면 홍범의 오행사상이 조선에서 전해졌다고 보는 게 타당하다. 또 동황태일 즉 단군왕검에게 제사하는 풍속이 호북, 절강 등지에서 유행했다는 사실이 전국시대 초나라의 시들을 정리한 '초사'에 있는 것을 볼 때 우임금이 형산에서 제사를 지내고 도산에서 부루의 신서를 받았기 때문에 호북, 절강 등지에서 수두교가 유행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